
공공관리연구원은 지난 4월 10일, 충남인재개발원에서 도내 민간위탁 사무 수탁기관 종사자 약 80여 명을 대상으로 ‘민간위탁사무 수탁기관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충남인재개발원 도민교육운영과가 주관했으며, 민간위탁 사무의 이해와 운영, 예산 및 회계, 계약 및 감사대응 등 실무 역량 강화를 목표로 구성되었다.

공공관리연구원 홍원기 팀장이 맡은 해당 교육은 ▲민간위탁 이해 ▲민간위탁 표준적 관리(관리지침) ▲민간위탁 효율적 관리 ▲시설안전관리 및 인권보호 ▲보조금 사업의 이해와 같은 주제로 이루어졌으며, 사전에 요청받은 중요 내용을 포함하여 목차를 구성했다.

홍원기 팀장은 ESG의 개념을 설명하며 강의 시작을 열었다. 최근 ESG 평가 항목이 입찰 및 선정, 성과평가 과정에 반영될 만큼 중요성이 커지고 있어 관련 내용을 포함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복지시설이나 청소년센터 운영, 하수처리 등의 분야에서 민간위탁 제도가 활발히 운용되고 있으며, 사회적 경제조직에 민간위탁 시 사회적 책임과도 연관성이 있어 ESG에 대한 교육을 선행했다.

본격적인 강의에서는 충청남도의 연도별 민간위탁 관리지침을 차례로 살펴보며 주요 개정 내용 등을 파악했다. 이후 민간위탁의 개념과 관련 법 조항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며 민간위탁의 기본적인 내용을 소개했다. 강의의 첫 번째 주제인 ‘민간위탁의 이해’ 부분에서는 민간위탁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에 대한 설명을 위해 ‘민간위탁 관리모델(COM)’을 예시로 들었다. 이에 민간위탁 관리관점에서 투명성과 자율성 확보가 중요함을 강조했다. 또, 공무원이나 공공기관 등 민간위탁 사무 실무자를 위해 ‘민간위탁 사무 적정성 검토’에 대한 설명을 이어갔다. 민간위탁을 맡겨야 하는 업무인지 결정하기 위해서는 단순성과 복잡성, 효율성과 공공성 등을 비교하며 사무 유형을 분류할 수 있음을 언급했다. 관련 자료로 충청남도 민간위탁 관리지침의 각 항목을 샅샅이 분석하며 민간위탁 사무 선정에 대해 검토하는 방안을 설명했다.

이어서 홍원기 팀장은 민간위탁에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인 ‘서비스 평가’에 대해 강의했다. 민간위탁 평가의 최종 목적은 자체평가를 통해 서비스의 수준이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나가는 데 있다며, 수탁업체 스스로 자신의 업무를 평가하고 장애요인과 비효율을 찾아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특히, 민간위탁 사업 전에 명확한 사업목표 및 성과목표를 설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교육에서는 충남인재개발원의 사전 요청에 따른 ‘시설안전관리 및 인권보호’에 대한 내용을 심층적으로 다루었다. 고용노동부의 ‘중소기업을 위한 안전보건관리 자율점검표‘를 참고해 자가진단 항목의 중요한 내용을 짚어봤다. 조직문화에 대한 부분은 타 기관의 개선사례를 통해 올바른 조직문화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이후 보조금 사업에 대한 주제를 끝으로 교육이 마무리되었다.

강의 후에는 질의응답을 통해 수탁기관 종사자들이 교육 내용에서 생긴 궁금증을 해결하는 시간을 가졌다. 홍원기 팀장은 평소 실무에서 겪은 어려움에 대한 교육생들의 질문에 적절한 예시를 들어 답변하며 강의를 마무리하였다.

공공관리연구원 홍원기 팀장은 “이번 교육이 충청남도의 민간위탁 서비스가 한층 더 체계적으로 운영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수탁기관의 전문성과 공공성을 높이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공공관리연구원은 지난 4월 10일, 충남인재개발원에서 도내 민간위탁 사무 수탁기관 종사자 약 80여 명을 대상으로 ‘민간위탁사무 수탁기관 종사자 역량강화 교육’을 실시했다. 이번 교육은 충남인재개발원 도민교육운영과가 주관했으며, 민간위탁 사무의 이해와 운영, 예산 및 회계, 계약 및 감사대응 등 실무 역량 강화를 목표로 구성되었다.
공공관리연구원 홍원기 팀장이 맡은 해당 교육은 ▲민간위탁 이해 ▲민간위탁 표준적 관리(관리지침) ▲민간위탁 효율적 관리 ▲시설안전관리 및 인권보호 ▲보조금 사업의 이해와 같은 주제로 이루어졌으며, 사전에 요청받은 중요 내용을 포함하여 목차를 구성했다.
홍원기 팀장은 ESG의 개념을 설명하며 강의 시작을 열었다. 최근 ESG 평가 항목이 입찰 및 선정, 성과평가 과정에 반영될 만큼 중요성이 커지고 있어 관련 내용을 포함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복지시설이나 청소년센터 운영, 하수처리 등의 분야에서 민간위탁 제도가 활발히 운용되고 있으며, 사회적 경제조직에 민간위탁 시 사회적 책임과도 연관성이 있어 ESG에 대한 교육을 선행했다.
본격적인 강의에서는 충청남도의 연도별 민간위탁 관리지침을 차례로 살펴보며 주요 개정 내용 등을 파악했다. 이후 민간위탁의 개념과 관련 법 조항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며 민간위탁의 기본적인 내용을 소개했다. 강의의 첫 번째 주제인 ‘민간위탁의 이해’ 부분에서는 민간위탁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에 대한 설명을 위해 ‘민간위탁 관리모델(COM)’을 예시로 들었다. 이에 민간위탁 관리관점에서 투명성과 자율성 확보가 중요함을 강조했다. 또, 공무원이나 공공기관 등 민간위탁 사무 실무자를 위해 ‘민간위탁 사무 적정성 검토’에 대한 설명을 이어갔다. 민간위탁을 맡겨야 하는 업무인지 결정하기 위해서는 단순성과 복잡성, 효율성과 공공성 등을 비교하며 사무 유형을 분류할 수 있음을 언급했다. 관련 자료로 충청남도 민간위탁 관리지침의 각 항목을 샅샅이 분석하며 민간위탁 사무 선정에 대해 검토하는 방안을 설명했다.
이어서 홍원기 팀장은 민간위탁에서 중요한 부분 중 하나인 ‘서비스 평가’에 대해 강의했다. 민간위탁 평가의 최종 목적은 자체평가를 통해 서비스의 수준이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나가는 데 있다며, 수탁업체 스스로 자신의 업무를 평가하고 장애요인과 비효율을 찾아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특히, 민간위탁 사업 전에 명확한 사업목표 및 성과목표를 설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날 교육에서는 충남인재개발원의 사전 요청에 따른 ‘시설안전관리 및 인권보호’에 대한 내용을 심층적으로 다루었다. 고용노동부의 ‘중소기업을 위한 안전보건관리 자율점검표‘를 참고해 자가진단 항목의 중요한 내용을 짚어봤다. 조직문화에 대한 부분은 타 기관의 개선사례를 통해 올바른 조직문화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이후 보조금 사업에 대한 주제를 끝으로 교육이 마무리되었다.
강의 후에는 질의응답을 통해 수탁기관 종사자들이 교육 내용에서 생긴 궁금증을 해결하는 시간을 가졌다. 홍원기 팀장은 평소 실무에서 겪은 어려움에 대한 교육생들의 질문에 적절한 예시를 들어 답변하며 강의를 마무리하였다.
공공관리연구원 홍원기 팀장은 “이번 교육이 충청남도의 민간위탁 서비스가 한층 더 체계적으로 운영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수탁기관의 전문성과 공공성을 높이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