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MI 교육

공공관리연구원 PAMI 교육을 소개합니다.

교육 및 강의사진

충청남도 인재개발원, ESG경영의 이해 교육 진행

 

지난 3월 6일, 배성기 소장은 충청남도 인재개발원 교육동 1층 102강의실에서 충청남도 산하 공공기관 종사자 20여명을 대상으로 

‘ESG경영의 이해’ 교육을 진행하였다. 

 

이번 교육은 ESG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 등과 더불어 국내 및 해외 ESG 경영 사례를 살펴보고, 향후 충청남도 산하 공공기관 

사자들이 ESG경영전략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교육은 크게 1. 국가혁신 패러다임의 변화, 2. 정부 혁신정책, 3. 국내·외 기관 혁신사례, 4. 공공기관 혁신방향의 목차로 구성

되었다.


 

배성기 소장은 혁신 정책사례로 영국 Public service(social value) Act와 영국 런던 람베스의 지속가능경영 사례를 소개하였다. 

영국의 Public Service Act는 재정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 균형을 추구하고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후생을 고려하여 공공

서비스 조달절차를 운용하도록 규정하였다. 영국 런던 람베스의 사례를 소개하면서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요소에 따른 평가지표를 

마련해 구매·조달 활동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을 추구하는 사회적 책임 조달정책을 설명하였다.

 

 

이어서 신뢰 사회 구축을 통한 사회적 자본 축적에 관해 설명하면서 사회적 자본 축적을 통한 ESG경영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사회적 신뢰를 토대로 ESG 경영에 운용되는 공공기관 운영 예산과 기업의 자본흐름의 변화를 통해 ESG 경영의 목표가 달성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협력적 국가경영에도 사회적 신뢰가 바탕이 되며 정부와 시민사회 간의 협치, 기업과 시민사회 간의 사회적

책임, 정부와 기업 간의 동반성장을 통해 ESG가 한층 더 활성화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공공기관 및 기업의 ESG 창출 사례로 인천국제공항공사와 SK의 ESG 경영혁신 사례를 소개하였다.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우 사회적 가치 실현 및 ESG 경영 우수사례로써, ESGI(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Innovation)의 틀에서 조직경영

및 혁신이 이루어가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이어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DBL(Double Bottom Line) 경영을 

추진하는 SK 기업 사례를 소개하였다. SK기업 사례를 통해 지속가능발전을 위해서는 끊임없는 혁신이 필요하며,  사회적 가치

추구는 기업에게 혁신의 동력이 될 수 있음을 소개하면서 충청남도 산하 공공기관 역시 공익적 가치와 함께 사회적가치를 동시에

창출하는 혁신을 이루어야 한다고 설명하였다.

 

 

배성기 소장은 정부가 어떻게 ESG를 실현하려 하는가에 대한 정부혁신 정책들로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K-SDGs)’, ‘K-ESG 

가이드라인’,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가이드라인’, ‘2050 탄소중립 추진계획, ’2050 녹색금융 추진계획‘ ‘환경정보공개시스템’, 

‘2022 환경정보 공개보고서’, ‘국가온실가스 종합관리시스템’,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지방의제21’, ‘충청남도지속가능발전

협의회’ 등 한국형 ESG 경영 관련 주요 추진계획과 활동 등을 소개하였다. 이어 공공기관 경영혁신과 사회적책임, ESG 성과 

출방안에 대해 여러 이해관계자와의 혁신네트워크 구축과 기관 내·외부 혁신을 통한 실제 업무 적용이 중요하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충청남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2030’를 부가설명하며 충남 공공기관 종사자들이 체계적으로 ESG를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왔고, ‘충청남도 지속가능발전 지표 및 이행평가 연구’에서 제시된 경제, 사회, 환경 분야 지속가능발전 지표의 목표 달성도를 

확인함으로써, 충청남도 맞춤형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대한 정책 제언 및 평가 개선 방향을 살펴본 후 지방정부와 공공기관 

협업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ESG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선 사회투자수익률(SROI 기법)이나 비용편익 분석(CBA) 등을 활용해 정확한 임팩트

Impact) 측정이 기반이 되어야 함을 역설하면서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 및 ESG 경영의 핵심은 시민이 더 체감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를 창출하는 것이 ESG 추구의 본질임을 강조하였다. ESG 구현 활동은 실제적 변화를 위해 추진해야 하며, 서비스 

이용자들의 체감된 삶의 변화가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공공기관의 공공서비스 임팩트(Impact) 평가 등을 활용해 

사업성과를 관리하는 작업이 필수적이라는 설명을 끝으로 강의를 마무리하였다.


 

한편 사회적 가치 연구소는 사회적 경제, 사회적 가치, 사회적 책임조달, 공공기관 우선구매, 사회적책임, ESG 교육을 실시해 

공무원 및 공공기관, 비영리기관 등을 대상으로 공동체 편익을 증대시키는 가치 추구, 시민사회 및 공공기관의 변화와 혁신을 

추구하는 연구기관이다. 사회적 가치 연구소는 사회적 가치와 사회적 책임, ESG를 중심으로 사회적 가치의 구현, 평가, 측정 

방법을 모색하고 관련 사례 교육을 진행 중이다. 아울러, 기관 여건에 맞는 교육 콘텐츠로 방문교육도 진행하고 있다.

#민간위탁전문가, #민간위탁전문기관, #민간위탁_전문가, #민간위탁_전문기관, #민간위탁타당성, #민간위탁_타당성, #위탁타당성, #민간위탁_조례, #위탁_타당성, #SLA, #성과관리, #성과평가, #성과지표, #성과관리방안, #성과분석, #개인성과관리, #원가산정, #수지분석, #위탁수수료산정, #계약관리방안, #제도개선, #감사방안, #주52시간, #인건비_산정, #민간위탁_인건비, #임금체계연구, #인력검토, #수탁타당성, #인력편성, #근로기준법, #직무분석, #인력재배치, #인건비불평등, #인건비체계수립, #처우개선, #동일노동_동일임금, #직무분석, #조직분석, #원가분석, #수지분석, #수입추정, #수요추정, #수요분석, #표준원가, #조정원가, #계약관리, #계약관리_방안, #초과수입, #초과수입 배분, #계약원칙, #인건비, #경비, #도시재생, #도시재생사업, #문화센터, #문화시설, #적정운영비용, #운영비용산정, #효율적운영방안, #원가계산, #원가산정, #원가분석, #수입, #수입추정, #수지, #수지분석, #민간위탁, #효율적운영방안, #경영혁신, #하수처리시설, #폐수처리시설, #생활폐기물수집운반, #폐기물소각시설, #분뇨, #축산분뇨, #오수, #재활용선별시설, #문화예술시설, #재료원가, #재료원가, #재활용, #공공재활용, #공공_재활용, #선별시설, #체육시설, #관광시설, #공공건물, #주민편익시설, #공원, #주차장, #하수, #공공하수처리시설, #사회복지, #사회복지시설, #복지시설 #사회적경제기업, #판로 확대 및 시장 진출 역량 강화, #사회적경제지원센터, #민·관협치, #공공시장 진출, #도넛경제, #ESG, #지속가능성, #사회책임조달, #사회적경제 육성 조례, #사경기업, #사회적가치,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 #환경정보공개시스템 #공공서비스, #공공관리, #경영진단, #사업타당성, #기본계획, #중장기, #전략, #공공위탁, #대행, #보조금, #정부사무, #운영방식, #입찰, #계약, #조달, #재정사업, #임팩트, #효과성, #공공요금, #지침, #매뉴얼, #가이드, #기반시설, #디지털, #정보화, #DT, #DX, #ESG, #사회적가치, #지속가능경영, #지방의회, #연구단체, #의정연구



회사소개     인재채용     고객지원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용약관     찾아오시는 길


공공관리연구원  대표자명 : 배성기 

사업자등록번호 : 209-11-32634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로 167 101-2001

Tel : 02)943-1941 Email : pami@pami.re.kr 

Fax : 02-943-1948

통장번호 : 국민은행 016701-04-034210


Publish Service Management Institute Co.Ltd.

All Rights Reserved.



회사소개     인재채용     고객지원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용약관     찾아오시는 길


공공관리연구원  대표자명 : 배성기 사업자등록번호 : 209-11-32634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로 167 101-2001  Tel : 02-943-1941 Fax : 02-943-1948 

Email : pami@pami.re.kr   통장번호 : 국민은행 016701-04-034210


Public Administration Management Institute Co.Ltd.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