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4월 17일, 배성기 소장은 충청남도 인재개발원 교육동 1층 102강의실에서 충청남도 산하 공공기관 종사자 30여명을 대상으
로 ‘공공기관의 사회적 책임(ESG)경영’ 교육을 진행하였다.
이번 교육은 사회적책임(ESG)경영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 등과 더불어 국내 및 해외 사례를 살펴보고, 향후 충청남도 산하 공공
기관 종사자들이 사회적책임(ESG)경영전략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교육은 크게 1. 국가혁신 패러다임의 변화, 2. 정부 혁신정책, 3. 국내·외 기관 혁신사례, 4. 공공기관 혁신방향의 목차로 구성되었
다.
배성기 소장은 혁신 정책사례로 영국 Public service(social value) Act와 영국 런던 람베스의 지속가능경영 사례를 소개하였다.
영국의 Public Service Act는 재정적 가치(Best Value)와 사회적 가치(Social Value) 균형을 추구하고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후생을 고려하여 공공서비스 조달절차를 운용하도록 규정하였다. 영국 런던 람베스의 사례를 소개하면서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요소에 따른 사회적 가치 평가지표를 마련해 구매·조달 활동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을 추구
하는 사회적 책임 조달정책을 설명하였다.

이어서 신뢰 사회 구축을 통한 사회적 자본 축적에 관해 설명하면서 사회적 자본 축적을 통한 사회적책임(ESG)경영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사회적 신뢰를 토대로 ESG 경영에 운용되는 공공기관 운영 예산과 기업의 자본흐름의 변화를 통해 ESG 경영의
목표가 달성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협력적 국가경영에도 사회적 신뢰가 바탕이 되며 정부와 시민사회 간의 협치, 기업과
시민사회 간의 사회적 책임, 정부와 기업 간의 동반성장을 통해 ESG가 한층 더 활성화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공공기관의 사회적책임경영 및 기업의 ESG 창출 사례로 인천국제공항공사와 SK의 ESG 경영혁신 사례를 소개하였다. 인천
국제공항공사의 경우 사회적 가치 실현 및 ESG 경영 우수사례로써, ESGI(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Innovation)의
틀에서 조직경영 및 혁신이 이루어가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이어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DBL(Double Bottom Line) 경영을 추진하는 SK 기업 사례를 소개하였다.
SK기업 사례를 통해 지속가능발전을 위해서는 끊임없는 혁신이 필요하며, 사회적 가치 추구는 기업에게 혁신의 동력이 될 수 있
음을 소개하면서 충청남도 산하 공공기관 역시 공익적 가치와 함께 사회적가치를 동시에 창출하는 사회적책임 경영 혁신을 이루
어야 한다고 설명하였다.

배성기 소장은 지자체가 어떻게 지금보다 더 나은 지역사회를 만들어 가는지에 대한 사례를 설명하였다. 서울시의 지속가능발전
평가 사례를 소개하면서 환경, 경제, 사회문화 분야의 지속가능발전지표 17개 목표를 기준으로 달성도 평가 방식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서울시의 사회책임조달 및 서울특별시 사회적경제 기본조례를 통해 지자체가 기업의 사회적 가치 창출 유인구조를 만들어
낼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아울러 사회혁신 정책을 어떻게 실현하는가에 관련해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K-SDGs)’, ‘K-ESG 가이드라인’, ‘한국형 녹색분
류체계 가이드라인’, ‘환경정보공개시스템’, ‘2023 환경정보 공개보고서’, ‘국가온실가스 종합관리시스템’, ‘전국지속가능발전협
의회’, ‘지방의제21’, ‘충청남도지속가능발전협의회’ 등 한국형 사회적책임(ESG) 경영 관련 주요 추진계획과 활동 등을 소개하였
다. 이어 공공기관 경영혁신과 사회적책임 성과 창출방안에 대해 여러 이해관계자와의 혁신네트워크 구축과 기관 내·외부 혁신을
통한 실제 업무 적용이 중요하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충청남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2030’를 부가설명하며 ‘충청남도 지속가능발전 지표 및 이행평가 연구’에서 제시된 경
제, 사회, 환경 분야 지속가능발전 지표의 목표 달성도를 확인함으로써, 충청남도 맞춤형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대한 정책 제언 및
평가 개선 방향을 살펴본 후 지방정부와 지방공공기관 협업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책임(ESG)경영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선 사회투자수익률(SROI 기법)이나 비용편익 분석(CBA) 등을 활용해
정확한 임팩트(Impact) 측정이 기반이 되어야 함을 역설하면서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 및 ESG 경영의 핵심은 시민이 더 체감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를 창출하는 것이 사회적책임(ESG)경영의 본질임을 강조하였다. 서비스 이용자들의 체감된 삶의 변화가 이루
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공공기관의 공공서비스 임팩트(Impact) 평가 등을 활용해 사업 성과를 관리하는 작업이 필수
적이라는 설명을 끝으로 강의를 마무리하였다.

한편 사회적 가치 연구소는 사회적 경제, 사회적 가치, 사회적 책임조달, 공공기관 우선구매, 사회적책임, ESG 교육을 실시해 공
무원 및 공공기관, 비영리기관 등을 대상으로 공동체 편익을 증대시키는 가치 추구, 시민사회 및 공공기관의 변화와 혁신을 추구
하는 연구기관이다. 사회적 가치 연구소는 사회적 가치와 사회적 책임, ESG를 중심으로 사회적 가치의 구현, 평가, 측정 방법을
모색하고 관련 사례 교육을 진행 중이다. 아울러, 기관 여건에 맞는 교육 콘텐츠로 방문교육도 진행하고 있다.
지난 4월 17일, 배성기 소장은 충청남도 인재개발원 교육동 1층 102강의실에서 충청남도 산하 공공기관 종사자 30여명을 대상으
로 ‘공공기관의 사회적 책임(ESG)경영’ 교육을 진행하였다.
이번 교육은 사회적책임(ESG)경영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 등과 더불어 국내 및 해외 사례를 살펴보고, 향후 충청남도 산하 공공
기관 종사자들이 사회적책임(ESG)경영전략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교육은 크게 1. 국가혁신 패러다임의 변화, 2. 정부 혁신정책, 3. 국내·외 기관 혁신사례, 4. 공공기관 혁신방향의 목차로 구성되었
다.
배성기 소장은 혁신 정책사례로 영국 Public service(social value) Act와 영국 런던 람베스의 지속가능경영 사례를 소개하였다.
영국의 Public Service Act는 재정적 가치(Best Value)와 사회적 가치(Social Value) 균형을 추구하고 지역의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후생을 고려하여 공공서비스 조달절차를 운용하도록 규정하였다. 영국 런던 람베스의 사례를 소개하면서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요소에 따른 사회적 가치 평가지표를 마련해 구매·조달 활동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법을 추구
하는 사회적 책임 조달정책을 설명하였다.
이어서 신뢰 사회 구축을 통한 사회적 자본 축적에 관해 설명하면서 사회적 자본 축적을 통한 사회적책임(ESG)경영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사회적 신뢰를 토대로 ESG 경영에 운용되는 공공기관 운영 예산과 기업의 자본흐름의 변화를 통해 ESG 경영의
목표가 달성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협력적 국가경영에도 사회적 신뢰가 바탕이 되며 정부와 시민사회 간의 협치, 기업과
시민사회 간의 사회적 책임, 정부와 기업 간의 동반성장을 통해 ESG가 한층 더 활성화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공공기관의 사회적책임경영 및 기업의 ESG 창출 사례로 인천국제공항공사와 SK의 ESG 경영혁신 사례를 소개하였다. 인천
국제공항공사의 경우 사회적 가치 실현 및 ESG 경영 우수사례로써, ESGI(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Innovation)의
틀에서 조직경영 및 혁신이 이루어가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이어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DBL(Double Bottom Line) 경영을 추진하는 SK 기업 사례를 소개하였다.
SK기업 사례를 통해 지속가능발전을 위해서는 끊임없는 혁신이 필요하며, 사회적 가치 추구는 기업에게 혁신의 동력이 될 수 있
음을 소개하면서 충청남도 산하 공공기관 역시 공익적 가치와 함께 사회적가치를 동시에 창출하는 사회적책임 경영 혁신을 이루
어야 한다고 설명하였다.
배성기 소장은 지자체가 어떻게 지금보다 더 나은 지역사회를 만들어 가는지에 대한 사례를 설명하였다. 서울시의 지속가능발전
평가 사례를 소개하면서 환경, 경제, 사회문화 분야의 지속가능발전지표 17개 목표를 기준으로 달성도 평가 방식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서울시의 사회책임조달 및 서울특별시 사회적경제 기본조례를 통해 지자체가 기업의 사회적 가치 창출 유인구조를 만들어
낼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아울러 사회혁신 정책을 어떻게 실현하는가에 관련해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K-SDGs)’, ‘K-ESG 가이드라인’, ‘한국형 녹색분
류체계 가이드라인’, ‘환경정보공개시스템’, ‘2023 환경정보 공개보고서’, ‘국가온실가스 종합관리시스템’, ‘전국지속가능발전협
의회’, ‘지방의제21’, ‘충청남도지속가능발전협의회’ 등 한국형 사회적책임(ESG) 경영 관련 주요 추진계획과 활동 등을 소개하였
다. 이어 공공기관 경영혁신과 사회적책임 성과 창출방안에 대해 여러 이해관계자와의 혁신네트워크 구축과 기관 내·외부 혁신을
통한 실제 업무 적용이 중요하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충청남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2030’를 부가설명하며 ‘충청남도 지속가능발전 지표 및 이행평가 연구’에서 제시된 경
제, 사회, 환경 분야 지속가능발전 지표의 목표 달성도를 확인함으로써, 충청남도 맞춤형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대한 정책 제언 및
평가 개선 방향을 살펴본 후 지방정부와 지방공공기관 협업사업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책임(ESG)경영 성과를 창출하기 위해선 사회투자수익률(SROI 기법)이나 비용편익 분석(CBA) 등을 활용해
정확한 임팩트(Impact) 측정이 기반이 되어야 함을 역설하면서 공공기관의 사회적 가치 및 ESG 경영의 핵심은 시민이 더 체감할
수 있는 공공서비스를 창출하는 것이 사회적책임(ESG)경영의 본질임을 강조하였다. 서비스 이용자들의 체감된 삶의 변화가 이루
어졌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공공기관의 공공서비스 임팩트(Impact) 평가 등을 활용해 사업 성과를 관리하는 작업이 필수
적이라는 설명을 끝으로 강의를 마무리하였다.
한편 사회적 가치 연구소는 사회적 경제, 사회적 가치, 사회적 책임조달, 공공기관 우선구매, 사회적책임, ESG 교육을 실시해 공
무원 및 공공기관, 비영리기관 등을 대상으로 공동체 편익을 증대시키는 가치 추구, 시민사회 및 공공기관의 변화와 혁신을 추구
하는 연구기관이다. 사회적 가치 연구소는 사회적 가치와 사회적 책임, ESG를 중심으로 사회적 가치의 구현, 평가, 측정 방법을
모색하고 관련 사례 교육을 진행 중이다. 아울러, 기관 여건에 맞는 교육 콘텐츠로 방문교육도 진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