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MI 교육

공공관리연구원 PAMI 교육을 소개합니다.

교육 및 강의사진

전북특별자치도경제통상진흥원 ‘사회적경제기업 제품 우선구매’ 교육 진행


지난 7월 16일, 사회적가치연구소 배성기 소장은 전주에 위치한 전주 관광호텔 꽃심의 세미나실에서 전북 내 시·군 구매·회계담당 공무원, 출자출연기관,

전북 공기업 구매 및 회계담당자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진행하였다. 전북특별자치도경제통상진흥원에서 주관한 이번 교육은 사회적경제 우선구매에 대한 

교육을 통하여 우선구매제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사회적경제기업 제품 구매 촉진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교육은 1. 우리는 지금 선택의 기로, 2. 선진국

의 필수조건, 3. 정부혁신 방향, 4. 기업혁신 방향, 5. 도시혁신 사례, 6. 도시의 지속가능경영, 7. 전북특별자치도 사회적경제, 8. 전북특별자치도 출자·출연

기관, 9. 전북특별자치도 우선구매 실적, 10. 전북특별자치도-구매가능 예산목, 11. 민·관 협업 공공서비스 유형, 12. 협력적 도시경영을 위한 사회책임조

달, 13. 지자체 사회적경제기업 제품 및 서비스 구매 사례, 14. 가장 한국적인 세계적 도시를 위한 협력적 도시경영 모델의 목차로 구성되었다.

배성기 소장은 강의 서두에 선진국의 필수조건으로 사회자본과 사회적 신뢰가 축척되어여야 함을 이야기 하면서 사회적 신뢰는 어려운 사람을 돕는 것을 통

해, 주위 사람들이 서로 신뢰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된다고 관련영상을 보여 주며 설명했다. 이때 공공기관 종사자들의 역할이 중요하며 우리 사회에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사람에게 손 내밀어 주고, 누구 보다 법과 질서를 잘 지키며, 선한 영향력을 미치는 모범을 보일 때 선진국으로의 기틀을 잡을 수 있다고 설명

했다.

이어 정부혁신 방향 파트에서는 지방자치단체 합동평가 지표 내의 ‘환경친화 및 사회적 가치 확산을 위한 우선구매율’은 <국가주요시책>중 하나로 계약제도

를 운영함에 있어 ESG(환경,사회적책임,지배구조)등 사회적 가치 확산을 위한 우선구매 정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또한 정부 및 공공기관의 구매를

대행해주는 조달청의 ‘사회적 책임조달’ 정책 등 정부 차원에서 재화나 서비스 등의 구매·조달 과정에서 사회적 가치를 고려하여 우선구매제도를 운영하고 

있음을 설명했다. 기업 혁신 방향으로는 자본시장의 흐름과 변화가 ESEG(E:Economy 경제, S:Social 사회, E:Environment 환경 G:Governance) 관점

으로 확대되면서 주주중심의 경영에서 이해관계자중심의 경영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특히 세계 최대 자산 운용사인 블랙록(BlackRock)의 최고 

경영자 래리 핑크의 기업 ESG경영을 투자 결정 기준으로 삼겠다.는 선언을 인용하며 기업들에게 ESG 경영성과를 요구하는 자본시장의 변화를 설명했다.

또한 도시혁신 사례로서 네덜란드의 암스테르담, 영국의 람베스 등을 소개하며 정부, 기업, 시민·사회단체와의 거버넌스를 통해 도시의 문제를 같이 해결해 

나가며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도시혁신 사례를 소개하였다. 사회책임구매는 공익을 추구하는 기업과 시민·사회단체를 증가시켜 도시의 사각지대 문제를 

해결함으로 안정적인 도시를 공공기관의 역할이라고 설명하였다. 실무적으로는 부서별 세출예산 중 구매가능 한 예산으로 사무관리비, 행사운영비, 업무추

진비, 여비, 재료비, 연구비, 민간경상사업보조금, 민간행사사업보조금, 민간위탁금, 자산 및 물품취득비 등의 세출예산을 통해 구매력을 활용한 사회적 가치

를 창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단순 물품구매를 넘어서 공공서비스의 공동생산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며, 공공서비스파트너를 선정하는 방법을 기획하

고, 실행 방법을 기획해야 한다고 설명하며, 예산서 및 조례적 근거 등을 살펴보며 설명했다. 끝으로, 공공기관에서 사회적경제기업의 재화구매 사례로서 광고 및 인쇄, 문화예술서비스, 돌봄서비스, 폐자전거 업사이클링, 어린이 청소년 프로그램, 가

사· 간병서비스, 웹접근성 검증, 식자재 납품, 의복 제작, 사회주택, 복사용지, 공간기획, 행사기획·운영, 케이터링 서비스, 공연예술 서비스 등의 사례를 간

단히 설명했다. 공공기관은 사회적경제기업의 사회적 가치 활동을 촉진시키고 유인하기 위한 제품과 서비스 구매를 해야 한다. 소액구매 부터 큰 금액의 구

매는 지역내 경제·사회·환경 문제들을 점진적으로 해결해 나가면서 저성장 극복과 및 지역내 복지의 선순환을 이루어갈 수 있다고 설명하며 강의를 마무리

했다.

한편 공공관리연구원의 산하기관인 사회적가치연구소는 사회책임경영, ESG경영, 사회적경제 우선구매, 임팩트 평가 등의 교육을 통해 공무원 및 공공기

관, 비영리기관의 공동체 편익을 증대시키는 가치 추구 직업관 및 시민사회 및 공공기관의 변화와 혁신을 추구하는 연구기관이다. 아울러, 기관 여건에 맞는 

교육 콘텐츠로 방문교육도 진행하고 있다.

회사소개     인재채용     고객지원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용약관     찾아오시는 길


공공관리연구원  대표자명 : 배성기 

사업자등록번호 : 209-11-32634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로 167 101-2001

Tel : 02)943-1941 Email : pami@pami.re.kr 

Fax : 02-943-1948

통장번호 : 국민은행 016701-04-034210


Publish Service Management Institute Co.Ltd.

All Rights Reserved.



회사소개     인재채용     고객지원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용약관     찾아오시는 길


공공관리연구원  대표자명 : 배성기 사업자등록번호 : 209-11-32634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로 167 101-2001  Tel : 02-943-1941 Fax : 02-943-1948 

Email : pami@pami.re.kr   통장번호 : 국민은행 016701-04-034210


Public Administration Management Institute Co.Ltd. All Rights Reserved.